분류 전체보기 (619) 썸네일형 리스트형 [애플/아이맥] 21.5인치 아이맥 저가형 모델 출시 및 가격인하 가장 얇은 일체형 데스크탑 iMac의 보급모델이 등장하다 애플사의 일체형 컴퓨터, 세상에서 가장 얇은 일체형 데스크탑인 아이맥이 보급형 모델로 1,370,000원에 새롭게 출시됬다. 데스크탑으로서의 성능을 대폭 포기하고 가격을 낮춘 모델이다. 1.4GHz 인텔 듀얼코어 i5가 장착되었고, 8GB메모리 그리고 500GB의 하드를 장착햇는데, 그래픽 드라이브도 한 단계 낮은 HD Graphics 5000이 탑재됬다. 성능만 놓고보면 애플사의 랩탑 엔트리 모델인 맥북에어와 비슷하다. 중급형 모델과 가격차이가 12만원 정도 나는데, 중급형과 기본형의 성능차이가 많이 커서 일반소비자의 수요는 많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 보급형모델은 주로 저렴하면서도 적당한 성능을 갖춘 데스크탑을 필요로하는 학교나 도서관, 공.. [중국/IT] 알리바바 기업공개IPO 임박, 추가정보 공개 알리바바와 27인의 동업자들 [사진출처: 中国新闻网] 중국 인터넷 대기업 알리바바 그룹 홀딩이 미국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16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올 1분기 실적 보고서를 추가 공개했다. 이는 지난 5월 제출한 서류에서 누락돼 투자자들의 불만을 샀던 세부사항들을 이번 서류에서 추가설명한 조치이다. 그중 가장 중요한 사항은 알리바바의 주요 쇼핑사이트 두 곳인 티몰과 타오바오의 매출 내역, 이사회 대다수를 지명하는 대주주 27명의 이름, 인수 전략을 엿볼 수 있는 내용 등이다. [사진출처: 월스트리트 저널 코리아] 대주주 27명은 창업자 마윈(马云 ) 회장, 차이충신(蔡崇信 ) 부회장 외에도 많은 알리바바 경영진이 포함됐다. 장융(张勇 ) 최고운영책임자, 왕젠(王坚 ) 최.. [북경/한국마트] 북경 왕징에 위치한 한국마트, 내고향마트 북경에서도 한국의 향수를 느낄 수 있는 마트를 가다 누구나 모국을 떠나 외국에서 유학생활을 하거나 기타 업무등의 이유로 오래 거주하다 보면, 고국이 그립기 마련이다. 아무리 한국식으로 조리를 할려고 해도, 나라마다 양념과 조미료의 맛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한국의 맛을 내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인지,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들에 가보면 항상 한국마트들이 위치해 있다. 북경엔 Q마트(구 천사마트), 내고향마트가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는데, 규모나 상품면에서는 내고향마트가 다른 모든 한국마트들을 압도하는 편이다. 다른 마트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기면서 내고향마트와 경쟁을 해보려고 했지만 가격경쟁력과 상품다양성에서 늘 밀리기 때문에 성공한 경우는 매우 드문 편이다. 특히 왕징에 거주하는 한국 아주머니들이 가장 애호.. 2014 소설벤쳐 경연대회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주관 2014 소셜벤처 경연대회 [2014 소셜벤처 경연대회 홈페이지 바로가기] [애플/씨넷] 한컴, 맥용한글 맥앱스토어 등록 포기…왜? 한컴은 결국 맥 사용자들과 세계시장을 다시 한번 버리는가? 한컴오피스 2014가 출시된지도 시간이 많이 흘렀다. 한글은 아래아 한글시절부터 정부기관에 소프트웨어를 판매하면서 국민의 세금으로 큰 회사이다. 그동안 맥 OS X에 전혀 관심이 없던 한컴에서 이번 한컴오피스 2014 맥 OS X 사용자들을 위한 버전도 내놓겠다고 해서 많은 관심을 끌었는데, 결과는 절반의 성공에도 못미쳤던 것 같다. 일단 맥 OS X용은 한글 밖에 사용하지 못한다. 윈도우 사용자용 한컴오피스에는 한글, 한셀, 한쇼가 모두 포함되는데, 맥 OS X 사용자들은 이 중 한글만 사용할 수 있다. 가격적인 면에서도 지나치게 차별을 두어서 원성을 많이 샀는데, 세가지 소프트웨어가 모두 포함된 한컴오피스 2014 홈에디션 MLP(3대까지 설.. [중국/IT] 네이버 '라인', 하반기부터 중국 시장 본격적으로 공략 네이버 재팬의 캐시카우 모바일 메신저 라인, 중국을 노리나 [사진출처: 블룸버그 뉴스] 네이버 라인은 2011년 일본에서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났을 때 전화선이 모두 끊겼을때, 가족과 지인들의 생사를 스마트폰을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개발함으로써 크게 성장했다. 현재 전 세계에 4억명 이상의 유저가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 페이스북에 인수된 왓츠앱(Whstsapp)의 매출액인 2,000만 달러보다 20배이상 많은 51억달러를 올렸다. 특히 라인의 상징인 문(Moon) 캐릭터는 단순한 선으로 이루어진 캐릭터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표정을 구사하며 라인 유저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라인이 올 하반기 중국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현재 중국의 메신저 시장은 텐센트(Tencent, 腾讯)라는 IT소프트웨.. [중국/심천] 단오절 후 심천의 해변가가 쓰레기장으로 변신한 이유 우국충정을 기리는 단오절에 벌어진 쓰레기 폭탄테러 중국의 발전한 도시 중 한 군데인 심천(Shenzhen, 深圳)에 위치한 따메이샤 해수욕장(Dameisha Beach Park, 大梅沙海滨公园)에서 5월 31일부터 시작된 연휴부터 단오절이였던 6월 2일까지 삼 일만에 362톤의 쓰레기가 버려져서 해수욕장이 쓰레기장으로 변신했다. 빈 페트병과 과자봉지 등이 굴러다니고 있으며 그 누구도 자기 주변의 쓰레기를 정리하지도 않고, 오히려 그 쓰레기장 안에서 태연하게 일광욕을 즐기고 있다. 이는 용선축제(Dragon Boat Festival, 龙船赛)에 참여한 48만명의 참가자들이 남기고 간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북경] 베이징 시, 지하철내 음식/끼니 해결 전면 금지 정말?? 드디어 공공장소에서 음식 냄새가 사라지나? [사진출처: SBS] 중국 여행을 해본 사람들이라면 모두 중국인들의 노상 취식행위는 정말 전 세계 어느 민족도 말릴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밀폐된 엘리베이터나 지하철, 버스 안에서 냄새가 코를 찌르는 역한 면, 빵, 마라탕 등을 들고 주위사람의 시선에 아랑곳않고 마구 취식을 한다. 이 뿐만이 아닌데, 심지어 중국 영화관안에는 중국인들이 집에서 싸온 냄새가 심한 부침개같은 전 종류나, 시큼한 고추소스로 버무린 음식들을 휴대해 와서 영화 상영도중 왁자지껄하면서 먹는게 일상이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 중국 정부와 베이징 시정부에서 부단히도 노력을 해왔지만 단 한번도 성공한 적은 없다. 원래 이전에도 지하철 내 취식을 단속해 왔지만, 이번에 중국 베이징시..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78 다음